본문 바로가기

Programming/Android

Fragment - 4. 액티비티와의 통신 액티비티와의 통신Fragment는 Activity로부터 독립적인 객체로 구현되었고 여러 개의 액티비티 안에서 사용할 수 있는 것이 사실이지만, 프래그먼트의 주어진 인스턴스는 그것을 포함하고 있는 액티비티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습니다.구체적으로 말하면, 이 프래그먼트는 getActivity()를 사용하여 Activity 인스턴스에 액세스하여 액티비티 레이아웃에서 뷰를 찾는 것과 같은 작업을 손쉽게 수행할 수 있습니다.View listView = getActivity().findViewById(R.id.list);이와 마찬가지로, 액티비티도 프래그먼트 안의 메서드를 호출할 수 있습니다. 그러려면 FragmentManager로부터의 Fragment에 대한 참조를 가져와야 하며, 이때 findFragmentB.. 더보기
Fragment - 3. 관리 프래그먼트 관리액티비티 내의 프래그먼트를 관리하려면 FragmentManager를 사용해야 합니다. 이것을 가져오려면 액티비티에서 getFragmentManager()를 호출하세요.FragmentManager를 가지고 할 수 있는 여러 가지 일 중에 예를 들면 다음과 같습니다.액티비티 내에 존재하는 프래그먼트를 findFragmentById()로 가져오기(액티비티 레이아웃 내에서 UI를 제공하는 프래그먼트의 경우) 또는 findFragmentByTag()로 가져오기(UI를 제공하거나 하지 않는 프래그먼트의 경우).popBackStack()을 사용하여 프래그먼트를 백 스택에서 꺼냅니다(사용자가 Back 명령을 시뮬레이션).백 스택에 변경 내용이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addOnBackStackChangedL.. 더보기
Fragment - 2. 사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추가 Fragment는 일반적으로 Activity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부로 사용되며 자체 Layout으로 Activity에 기여한다. Fragment에 대해 Layout을 제공하려면 반드시 onCreateView() 콜백 메서드를 구현하여야 한다. 이것은 Fragment가 자신의 Layout을 그릴 때가 되면 Android 시스템이 호출하는 것이다. 이 메서드의 구현은 반드시 View를 반환해야 한다. 이것은 Fragment Layout의 루트이다. ( - Fragment가 ListFragment의 서브 클래스인 경우,기본 구현이 onCreateView()로부터 ListView를 반환하므로 이를 구현하지 않아도 된다) onCreateView()로부터 레이아웃을 반환하려면 이를 XML.. 더보기
Fragment - 1. 서론 Fragment는 동작 또는 Activity 내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부를 나타낸다. 여러 개의 프래그먼트를 하나의 액티비티에 조합하여 창이 여러 개인 UI를 구축할 수 있으며, 하나의 프래그먼트를 여러 액티비티에서 재사용할 수 있다. 프로그먼트는 자체 수명주기를 가지고, 자체 입력 이벤트를 받으며, 액티비티 실행 중에 추가 및 제거가 가능한 액티비티의 모듈식 섹션이라고 생각하면 된다.(다른 Activity에 재사용할 수 있는 "하위 액티비티"와 같은 개념). Fragment는 항상 액티비티 내에 포함되어 있어야 하며 해당Fragment의 수명 주기는 Host Activity의 수명 주기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받는다. 예를 들어 Activity가 일시정지 되는 경우, 그 안의 모든 Fragment도 일.. 더보기
[Android] 안드로이드 Activity와 Activity Life Cycle Activity - 화면을 구성하는 기본 단위로서 한 화면을 보여주는 역할 이전 포스팅에서 간단히 말했던 Activity 의 설명이다. 지난 포스팅에서 언급했던 중요 구성요소들에 대해서 하나씩 설명을 해볼까 한다. 이번 포스팅은 그 중 제일 기본이라고 할 수 있는 Activity에 관한 설명과 그 생명 주기에 관한 내용이다. 액티비티는 화면의 기본 단위 라고 대부분의 웹문서에서 설명하지만, 사실 실제로는 화면을 보여주는 단위가 아닌 화면을 구성하는 view를 다양한 컨트롤을 이용하여 배치하는 이벤트를 처리하는 컴포넌트다. 실제로 안드로이드 스튜디오를 만들어 보면 view에 해당하는 소스코드는 xml로 이루어져 있고 activity는 그 xml과 연동을 시켜 해당 화면을 보여줌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정.. 더보기
[Android] 안드로이드의 주요 개념 일단 안드로이드를 시작하고자 한다면 무조건 알아야 할 몇가지 개념이 존재한다. 바로 안드로이드 구성 요소에 관한 것인데, 안드로이드는 크게 4대 컴포넌트라 불리워지는 4가지의 구성 요소를 지니고 있다.Activity, Broadcast Receiver, Content Provider, Service 가 그 4대 컴포넌트이며, 각 4대 컴포넌트에 액션이나 데이터를 전달하는 intent, 수신할 수 있는 인텐트를 정의하여 컴포넌트를 정의하는 역할을 하는 Intent Filter, 사용자에게 특정 이벤트를 알리는데 쓰이는 Notification 등이 크게 알아야 할 구성요소의 개념이다. 구성 요소 설명 Activity - 액티비티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구성하는 컴포넌트 Broadcast Receiver -.. 더보기

반응형